본문 바로가기
정보

PC를 새 것처럼! 윈도우 복구 및 초기화, 쉽고 빠르게 끝내는 완벽 가이드

by 370jsjfjfaf 2025. 10. 28.
PC를 새 것처럼! 윈도우 복구 및 초기화, 쉽고 빠르게 끝내는 완벽 가이드
배너2 당겨주세요!

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.

PC를 새 것처럼! 윈도우 복구 및 초기화, 쉽고 빠르게 끝내는 완벽 가이드

 

목차

  1. 초기화 전, 이것만은 꼭! – 필수 백업 및 준비사항
  2. 윈도우 내에서 초기화 (가장 쉽고 빠른 방법)
    • 설정 앱을 통한 '이 PC 초기화' 과정 상세
    • '내 파일 유지' vs '모든 항목 제거' 선택 기준
  3. 부팅 문제 발생 시 복구 환경 진입 방법
    • Shift + 다시 시작 혹은 강제 종료 3회 이용
    • 고급 옵션의 활용 (시스템 복원, 시동 복구 등)
  4. 클린 설치 수준의 완벽 초기화 - '드라이브 정리' 옵션
    • 데이터 완전 삭제 옵션의 필요성과 사용 시 주의점
  5. 제조사 복구 솔루션 (Recovery Solution) 활용
    • 삼성, LG 등 주요 제조사별 복구 기능 간단 소개 (F키 활용 등)
  6. 초기화 후 설정 - 빠르고 안전하게 시작하기

1. 초기화 전, 이것만은 꼭! – 필수 백업 및 준비사항

윈도우 초기화는 시스템을 깨끗하게 정리해 주지만, 그 과정에서 C 드라이브(운영체제가 설치된 드라이브)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와 프로그램이 삭제됩니다. 따라서 초기화를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중요한 파일들을 백업해야 합니다.

  • 중요 데이터 백업: 문서, 사진, 영상, 즐겨찾기 목록 등 개인 파일은 외장 하드, USB 드라이브,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(OneDrive, Google Drive 등)에 옮겨 놓습니다. 특히 바탕화면, 다운로드 폴더, 문서 폴더 등은 빠지기 쉬우니 꼼꼼히 확인하세요.
  • 프로그램 라이선스 확인: 포토샵, 오피스 등 유료 프로그램의 제품 키나 라이선스 정보를 미리 메모하거나 캡처해 둡니다. 초기화 후 재설치 시 필요합니다.
  • 전원 어댑터 연결: 초기화 과정은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으며, 중간에 전원이 꺼지면 시스템에 심각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 노트북의 경우 반드시 전원 어댑터를 연결하고 진행하세요.

2. 윈도우 내에서 초기화 (가장 쉽고 빠른 방법)

PC가 정상적으로 부팅되는 경우라면 윈도우 설정 메뉴를 통해 가장 쉽고 빠르게 초기화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. 윈도우 10 또는 11 모두 유사한 경로를 따릅니다.

설정 앱을 통한 '이 PC 초기화' 과정 상세

  1. [시작] 버튼을 클릭하거나 Windows 키 + I를 눌러 [설정] 앱을 엽니다.
  2. [시스템] 항목 (윈도우 10은 [업데이트 및 보안])을 선택합니다.
  3. 좌측 메뉴에서 [복구] 항목을 클릭합니다.
  4. '복구 옵션' 섹션에서 [이 PC 초기화] 옆의 [PC 초기화] 또는 [시작] 버튼을 클릭합니다.

'내 파일 유지' vs '모든 항목 제거' 선택 기준

초기화를 시작하면 두 가지 옵션이 나타납니다. 상황에 맞게 신중하게 선택해야 합니다.

  1. '내 파일 유지' (Keep my files):
    • 내용: 개인 파일(문서, 사진 등)은 유지하고, 설치된 앱과 설정만 제거됩니다.
    • 사용 상황: PC 속도가 느려지거나 프로그램 충돌 등으로 인해 시스템 안정화가 필요할 때. 개인 데이터를 보존하고 싶을 때 적합합니다.
    • 주의: Windows가 설치된 드라이브 외의 드라이브(D:, E: 등)는 기본적으로 건드리지 않습니다.
  2. '모든 항목 제거' (Remove everything):
    • 내용: 개인 파일, 설치된 앱, 설정 등 모든 것이 삭제되어 PC를 공장 출하 상태로 되돌립니다.
    • 사용 상황: PC를 중고로 판매하거나 타인에게 양도할 때, 혹은 시스템에 심각한 오류가 발생하여 완벽한 초기화가 필요할 때 사용합니다. 개인 정보 유출 방지를 위해 이 옵션을 권장합니다.

선택 후에는 [클라우드 다운로드] (인터넷을 통해 최신 Windows 이미지를 다운로드하여 설치)와 [로컬 다시 설치] (PC에 이미 있는 파일을 사용하여 설치)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. 일반적으로는 최신 상태로 설치되는 [클라우드 다운로드]를 추천하지만, 인터넷 연결이 불안정하다면 [로컬 다시 설치]를 선택합니다.


3. 부팅 문제 발생 시 복구 환경 진입 방법

PC가 아예 부팅되지 않아 설정 앱에 접근할 수 없는 경우에도 초기화 및 복구 옵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이를 위해 'Windows 복구 환경 (WinRE)'으로 진입해야 합니다.

Shift + 다시 시작 혹은 강제 종료 3회 이용

  1. 로그인 화면에서 진입: 로그인 화면이 보인다면, 키보드의 Shift 키를 누른 채로 화면 오른쪽 아래의 전원 아이콘 $\rightarrow$ [다시 시작]을 클릭합니다.
  2. 강제 종료 3회 이용: 로그인 화면조차 뜨지 않는 심각한 부팅 오류의 경우, PC가 부팅되는 도중 (윈도우 로고가 나타날 때) 전원 버튼을 길게 눌러 강제로 종료하는 과정을 2~3회 반복합니다. 윈도우는 비정상적인 종료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복구 환경으로 진입합니다.

고급 옵션의 활용 (시스템 복원, 시동 복구 등)

복구 환경에 진입하면 [옵션 선택] 화면이 나타납니다. 여기서 [문제 해결] $\rightarrow$ [이 PC 초기화]를 선택하여 앞서 설명한 초기화 과정을 동일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. 또한, 초기화 외에 다른 복구 옵션도 활용 가능합니다.

  • [시스템 복원]: 미리 저장된 '복원 지점' 시점으로 시스템을 되돌립니다. 설치된 프로그램이나 드라이버 문제 해결에 유용하며, 개인 파일은 유지됩니다.
  • [시동 복구]: 윈도우 부팅을 방해하는 일반적인 문제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수정합니다.
  • [업데이트 제거]: 최근에 설치된 품질 업데이트나 기능 업데이트를 제거하여, 업데이트 문제로 인한 부팅 오류를 해결합니다.

4. 클린 설치 수준의 완벽 초기화 - '드라이브 정리' 옵션

'모든 항목 제거' 옵션 선택 후 [설정 변경]을 클릭하면, 초기화의 수준을 더 높일 수 있습니다.

데이터 완전 삭제 옵션의 필요성과 사용 시 주의점

  • [파일만 제거] (Just remove my files): 드라이브를 빠르게 포맷하고 Windows를 다시 설치합니다. 데이터 복구 전문가에 의해 일부 파일이 복구될 가능성이 남아 있습니다.
  • [드라이브를 완전히 정리] (Fully clean the drive): 파일이 있던 공간을 무작위 데이터로 덮어쓰는 과정을 거쳐 데이터를 '완전 삭제'합니다. 이 옵션은 PC를 중고로 판매하거나 양도할 때 개인 정보 유출을 완벽히 막기 위해 반드시 선택해야 합니다.
  • 주의: 이 옵션은 초기화 시간이 훨씬 오래 걸리므로,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진행해야 합니다. 데이터 복구가 거의 불가능하므로, 백업 여부를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.

5. 제조사 복구 솔루션 (Recovery Solution) 활용

삼성, LG 등 주요 PC/노트북 제조사들은 윈도우의 기본 초기화 기능 외에 자체 복구 솔루션을 제공합니다. 이 솔루션은 PC를 '공장 출하' 상태 (구입 당시 상태)로 되돌리는 데 최적화되어 있으며, 드라이버나 유틸리티까지 한 번에 설치해 주는 장점이 있습니다.

  • 진입 방법: PC 전원을 켠 직후 특정 키를 반복해서 누르는 방식으로 진입합니다.
    • 삼성 (Samsung Recovery): F4 키 (모델에 따라 다를 수 있음)
    • LG (LG Recovery): F11 키 (모델에 따라 다를 수 있음)
    • 기타 제조사: F8, F10, F12 또는 Del 키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, 제조사 매뉴얼을 확인해야 합니다.
  • 특징: Windows가 완전히 손상되어 부팅이 불가능할 때도 Recovery 영역이 손상되지 않았다면 활용 가능하며, 제조사별로 제공되는 프로그램의 이름(예: Samsung Recovery Solution)을 검색하여 자세한 사용법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.

6. 초기화 후 설정 - 빠르고 안전하게 시작하기

초기화 과정이 완료되면 PC는 자동으로 재부팅되며, 윈도우를 처음 설치했을 때와 같은 초기 설정 화면 (OOBE - Out-of-Box Experience)이 나타납니다.

  1. 지역 및 키보드 설정: 사용하려는 언어, 지역, 키보드 종류(일반적으로 'Microsoft 입력기')를 선택합니다.
  2. 네트워크 연결: 인터넷 연결이 필요합니다. 연결 후 Windows 업데이트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. (클라우드 다운로드를 선택했다면 이 단계에서 연결이 필수입니다.)
  3. 계정 설정: Microsoft 계정을 연결하거나, '인터넷 없음' 또는 '제한된 설정으로 계속' 등을 선택하여 로컬 계정을 설정합니다. 개인용 PC라면 Microsoft 계정 연결을 추천하며, 보안을 위해 암호를 설정합니다.
  4. 개인 정보 설정: 위치, 진단 데이터 등 개인 정보 관련 옵션을 검토하고 설정합니다.
  5. 드라이버 및 업데이트: 초기 설정이 완료되어 바탕화면에 진입하면, 가장 먼저 Windows Update를 실행하여 시스템 및 장치 드라이버를 최신 상태로 업데이트합니다. 제조사 PC의 경우 전용 업데이트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이 드라이버 문제를 방지하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.

이 과정을 모두 마치면 당신의 PC는 마치 새로 산 것처럼 빠르고 쾌적한 상태로 돌아가게 됩니다. 정기적인 초기화는 PC 성능 유지에 큰 도움이 됩니다. (공백 제외 2000자 이상)